2023. 6. 17. 19:18ㆍ공부 - 파이썬 독학
#파이썬 튜플이란?
파이썬에서 튜플(Tuple)은 변경할 수 없는 자료형이다. 이는 튜플의 요소를 추가, 삭제, 수정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. 튜플은 소괄호 `( )`를 사용하여 생성하며, 각 요소는 쉼표 `,`로 구분된다. 나중에 밑의 예제를 통해 확인해보자. 그런데 요소를 변경, 추가, 삭제할 수도 없는 튜플을이라는 것이 왜 필요할까? 이유는 프로그래밍에서 튜플을 사용하는 쪽이 더 유리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. 보통 튜플은 이전에 정의한 것처럼 요소가 절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할 때 사용한다. 프로젝트를 같이하다 보면, 코딩을 나눠서 하는 경우가 있는데, 이럴 경우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. 그래서 튜플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면 3가지 정도로 요약 할 수 있다. 1. 변경 불가능 : 튜플의 요소를 변경할 수 없다. 따라서 한 번 생성된 튜플은 그 내용을 수정할 수 없다. 2. 순서가 있음: 튜플은 요소들의 순서가 있다. 특정 위치에 있는 요소에 접근하거나 슬라이싱을 통해 부분 튜플을 추출할 수 있다. 3. 여러 자료형 포함 가능: 튜플은 서로 다른 자료형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. 숫자, 문자열, 리스트, 딕셔너리 등을 하나의 튜플에 저장할 수 있다.
아래 예제에서는 다양한 자료형의 튜플을 생성하고, 인덱스를 사용하여 특정 요소에 접근하고,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부분 튜플을 추출하는 방법을 적어보았다. 튜플은 요소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불변성을 요구하거나 수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만큼 신중하게 선언해야 한다. 또한, 함수의 반환값이 여러 개인 경우에도 튜플로 반환되는 경우도 존재한다.
오늘의 파이썬 공부 끝!!!
#튜플 선언 예제
# 튜플 생성
tuple1 = (1, 2, 3)
tuple2 = ('apple', 'banana', 'orange')
tuple3 = (1, 'hello', [4, 5, 6])
# 튜플 요소에 접근
print(tuple1[0]) # 출력 결과: 1
print(tuple2[1]) # 출력 결과: banana
print(tuple3[2][1]) # 출력 결과: 5
# 튜플 슬라이싱
subset = tuple1[1:3]
print(subset) # 출력 결과: (2, 3)
'공부 - 파이썬 독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Excel 파일 Open (0) | 2023.07.02 |
---|---|
파이썬 while 문 (0) | 2023.06.25 |
파이썬 자료형 (딕셔너리, Dictionary) (0) | 2023.06.17 |
파이썬 자료형 (0) | 2023.06.09 |
파이썬 리스트(List) (0) | 2023.06.06 |